스프링 IoC, DI, 컨테이너



AppConfig?

  • 해당 포스팅에서 AppConfig은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방식을 구성(config)하기 위해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, 의존성을 관리하는 책임을 가지는 별도의 설정 클래스를 통칭함

제어의 역전 IoC(Inversion of Control)

  • 기존 프로그램들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했음(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함)
  •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.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AppConfig가 가져갔음
  • 예를들어 구현 객체AccountServiceImpl은 필요한 인터페이들을 호출(의존)하지만 어떤 구현 객체들이 실행될지는 알지 못함
  •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(IoC)라고 함

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

  •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, 대신 실행하면 프레임워크 (Junit)
  •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라이브러리

의존관계 주입 DI(Dependency Injection)

  •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(런타임)에 외부(프레임워크)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고 한다
  •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, 클라이언트가 의존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음
  •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(import)를 변경하지 않고,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 가능
  • 여기서 클라이언트-서버는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말하는 것

왜 이런 짓을 해야하는지?

  • 결국은 관심사의 분리이다. 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누구에게 의존하든 자신이 해야할 일에 집중하기 위함

  • 예를들어?

    •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공연이라고 생각해보자
    •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배역이라 생각하면, 실제 배역을 연기할 배우는 누가 선택?
    • 배우는 상대 배우가 누가 됐든 자신의 역할인 배역을 전부 수행하는 것에만 집중해야 한다(관심사 분리)
    • 공연을 구성하고, 어떤 배우가 배역을 연기할지를 정하는 책임자(프레임워크)가 필요하다.





© 2020.02. by blupine